본문 바로가기

회계 세무 Accounting Tax

IASB 공개초안 일반적 표시와 공시

2020년 8월 18일 회계기준원 강의를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해당 강의는 회계기준원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다.

 

 

01 배경 및 개요

 Better Communication in Financial Reporting

  • 주요재무제표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 공시개선 Disclosure Initiative
  • 경영진 설명서 Management Commentary

이번에 다룰 내용은 주요재무제표 부분임.

IASB 프로젝트 개요

주요재무제표가 무엇인가?

 

주요재무제표의 범위

 

재무성과표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이 중 제일 포커스를 둔 부분은 '재무성과표'

 

공개초안의 구성

 

  • 현재 'IAS1 재무제표 표시' 를 대체할 것임. (+ IAS1의 기존 규정에서 일부 용어 변경)
  • 타 기준서 개정 (IAS1의 일부규정은 IAS8과 IFRS7로이전)
    • IAS7 현금흐름표
    • IAS33 주당이익
    • IAS24 중간재무보고
    • IFRS12 타 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

02 손익계산서 구조

 

존 영업손익 표시 현황

  • (회계기준) IRFS에서 영업손익 표시는 요구되지 않음 (KIFRS에서는 영업손익 표시를 요구함)
  • (실무) 많은 기억이 영업손익을 손익계산서에 표시
  • (실무) 재무제표 이용자는 영업손익을 미래현금흐름 평가에 사용함

문제점

  • 영업손익에 포함되는 항목이 기업마다 상당히 달라 비교가능성이 떨어짐

개선

  • 수익과 비용을 범주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영업손익을 비롯한 세 가지 중간합계를 정의하고 표시하도록 함.
    • 범주
      1. 영업 범주
      2. 필수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 범주
      3. 투자범주
      4. 재무범주
    • 중간합계
      1. 영업손익
      2. 영업손익 및 필수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 투자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3. 재무손익및법인세비용차감선순이익

  • 영업 범주
    • 다른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수익과 비용이 포함됨(잔여 범주, residual category)
    • 주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과 비용이 포함됨
    • 수익과 비용이 비경상(unusual)인지 아닌지는 영업손익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필수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 범주
    • 필수적 : 주요 사업활동에 필수적(integral) => 상당히 상호의존
    • 상당히 상호의존 판단지표 : 
      •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이 회사 사업라인의 일부임
      • 회사가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과 상호나 브랜드를 공유하여 동일한 사업을 한다고 외부에 보일 수 있음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이 회사의 공급자나 고객이어서 이들을 대체한다면 회사의 사업이 상당히 지장을 받게 됨

  • 투자 범주
    • 회사의 다른 자원과 개별적으로 그리고 거의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투자 수익 정보를 전달
      • 금융자산(현금및현금성자산 제외) 투자손익
      • 투자부동산 수익과 비용
      • 필수적이지 않은 관계기업과 공동기업투자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 투자하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증분비용(예:자산관리 수수료)
  • 재무 범주
    • 회사의 자금조달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
      • 현금및현금성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 재무활동에서 생긴 부채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 기타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예:퇴직급여부채의 할인액 상각)

 

 

특정 활동 회사의 손익 범주 분류

  • 투자 활동이 주요 영업이면 영업 범주로 (예: 투자회사, 보험회사 등)
  • 재무 활동이 주요 영업이면 영업 범주로 (예: 보험사 등)

  • 사례
    • 은행
      • 재무손익 및 법인세비용 차감전 순이익 중간합계가 없음.

 

외환차이 범주 분류

외환차이는 외환차이를 발생시키는 항목의 수익과 비용이 손익계산서에서 분류되는 범주와 동일한 범주로 분류함 (원 분류 따라감)

  • 외화표시 매입채무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
    • ->  매입원가는 보통 영업 범주로 분류되므로 외환차이도 영업 범주로 분류
  • 회사가 발행한 외화표시 채무상품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
    • -> 발행한 채무상품의 이자비용과 마찬가지로 재무범주로 분류.
    • -> 단, 회사의 주요 사업활동이 고객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경우라면 이자비용을 영업 범주로 분류하므로 외환차이도 영업 범주로 분류

위험회피수단 금융상품과 파생상품 범주 분류

 

  • if 위험관리 목적 
  • 위험회피수단 지정이라면 
    • 관리하는 위험이 영향을 미치는 범주로 분류
    • 다만, 손익을 총액계상해야 한다면 투자 범주** 예를 들어,  외화매출과 외화부채의 순포지션에 대한 외화위험을 단일한 파생상품으로 위험회피하는 사례에서 총액계상(grossing-up) 문제가 발생함. 외화매출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영업 범주로 분류되고 외화부채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재무 범주로 분류되므로, 각각의 범주에서 순포지션에 대한 외환차이를 보여주려면 실체 파생상품 손익보다 큰 금액을 각각의 범주에 계상해야 함.

  • 위험회피수단 비지정이라면
    •  파생상품 손익 
      • 관리하는 위험이 영향을 미치는 범주로 분류
      • 다만, 과도한 원가와 노력이 들면 투자 범주
    • 비파생 금융상품 손익
      • 공개초안의 일반 규정을 적용
  • if 위험관리 목적 아님 - 
    •  파생상품 손익 
      • 관리하는 위험이 영향을 미치는 범주로 분류
      • 다만, 과도한 원가와 노력이 들면 투자 범주
    • 비파생 금융상품 손익
      • 공개초안의 일반 규정을 적용

03 정보의 세분화

 

  • 영업비용의 분석
손익계산서 주석
기능별 분류방법이나 성격별 분류방법 중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류방법으로 분석내용을 표시함 기능별 분류방법으로 손인계산서에 표시하였다면, 성격별 분류방법을 사용한 분석내용을 주석의 한 곳에 모아 공시함
- 임의로 분류방법을 선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는 개정임
-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류방법을 판단하는 지침을 추가함
- 손익계산서에 표시하지 않고 주석에만 공시할 수 있다는 선택권 삭제
- 기능별 분류방법을 사용하면 매출원가를 표시해야 함
- 성격별 분류방법과 기능별 분류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지 못함
- 총 영업비용에 대한 성격별 분류 분석내용을 공시하며, 기능별로 분류된 개별항목에 대한 성격별 분석내용 공시는 요구되지 않음.

영업비용의 분석

 

영업비용 분석 공시 사례 - 손익계산서에서 기능별 분류했기 때문에 주석공시에 성격별 분류를 공시해야함.

영업비용 분석 공시 사례

 

비경상(Unusual)수익과 비용

  • 정의 : 제한된 예측가치만 있는 수익과 비용임. (즉, 유사한 수익과 비용이 향후 몇 년의 보고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 주석 공시 사항
    • 금액
    • 비경상 수익과 비용이 발생한 이유와 비경상 수익과 비용의 정의를 충족하는 근거
    • 해당 수익과 비용이 포함되는 포괄손익계산서 개별항목
    • 회사가 기능별 비용 분류방법으로 손익계산서에 표시했다면 성격별 비용 분류방법에 따른 분석 내용

비경상 수익과 비용 주석 공시 사례 (1)

 

 

비경상 수익과 비용 주석 공시 사례 (2)

 

 

04 경영진 성과측정치

 

경영진 성과측정치 (Management Performance Measures)

 

경영진 성과측정치는 다음과 같은 수익과 비용의 중간 합계를 의미함

경영진 성과측정치의 정의


 

경영진 성과측정치 표시와 공시

 

주석 공시법인세 비지배지분도 보여줘야 함

 

경영진 성과측정치 차이조정 공시 사례


05 기타 공개초안 내용

 

현금흐름표 개정안 개요

현금흐름표 개정안


 

현금흐름표에서 이자 및 배당 분류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포괄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

 

 

주당이익

 

 

 

 

 

 

06 요약 및 안내

요약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