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2025년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 무엇이 달라지나?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여 학점을 취득하고 졸업하는 새로운 교육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학점 기반 졸업 요건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하도록 유도하며, 단순한 지식 전달에서 벗어나 학생의 개별 역량 개발을 지원합니다.

 

도입 배경과 필요성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함께 학습 방식과 요구가 변화하면서, 기존의 교육 체계는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저출산, 인구 구조의 변화, 사회적 불평등 등 다양한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교학점제가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경쟁보다는 포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중요합니다.

 

고교학점제의 주요 특징

  1. 학생 중심의 선택형 교육과정: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와 진로에 맞는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며, 이 과정에서 학업 설계 지도와 진로 탐색 지원을 받습니다.
  2. 에듀테크 기반 미래형 학습: 대면과 비대면 학습을 결합하고, 학교 안팎의 교육 자원을 활용하여 학습의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넘어서는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3. 최소 성취수준 보장: 학생들이 기초 학력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도록 이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보충 지도를 제공합니다.

도입 일정과 준비 고교학점제는 2025년 전면 도입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목고에 부분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연구학교와 준비학교를 통해 체계적인 운영 체제를 점검하고 개선하고 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가져올 변화

  1. 학사 운영 변화: 학생별로 맞춤형 시간표를 구성하여 학습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보장합니다.
  2. 역할의 변화: 교사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에서 학업 설계와 상담을 지원하는 멘토로 변화하며, 학생들은 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합니다.
  3. 학교 공간 혁신: 전통적인 교실 중심의 학습 공간을 넘어, 도서관과 카페형 스터디룸 등 다양한 학습 공간이 조성됩니다.

성공적 운영을 위한 과제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교육과정의 유연성과 평가 체계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학교 밖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표: 고교학점제와 기존 교육체제 비교

 

구분기존 교육체제고교학점제

학습 방식 정해진 과목과 시간표 학생 개별 맞춤형 시간표
평가 방식 상대평가 절대평가(성취평가제)
학습 공간 전통적 교실 중심 지역사회 및 온라인 확장

 

더 자세한 내용은 고교학점제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유용하실거에요. 

고교학점제 도입·운영 안내서[2023]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